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제20대 대통령 선거/개표 결과/지역별/충청권/대전광역시

덤프버전 :
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제20대 대통령 선거/개표 결과/지역별/충청권









1. 개표 결과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당락
1이재명(李在明)434,9502위
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46.44%낙선
2윤석열(尹錫悅)464,0601위
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49.55%당선[전]
3심상정(沈相奵)25,4453위

ta-hash-start=w-3cdad14c5d7c1e1fa307772a876b42d7[[파일:정의당 로고타입.svg
2.71%낙선
4안철수(安哲秀)사퇴[1]

ta-hash-start=w-68130cdcd2d8d1adfa57f777bcfb41f4[[파일: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.svg
5오준호(吳準鎬)5667위

ta-hash-start=w-da6227556cac5e27703ef56a6015cb50[[파일:기본소득당 흰색 로고타입.svg
0.06%낙선
6허경영(許京寧)8,5934위

ta-hash-start=w-37c77fc83549b5204e788fb979887c92[[파일:국가혁명당 흰색 로고타입.svg
0.91%낙선
7이백윤(李百允)22311위

파일:노동당(대한민국) 흰색 로고타입.svg

0.02%낙선
8옥은호(玉恩鎬)13812위

ta-hash-start=w-83009c6fc799bde69b14954283158163[[파일:새누리당(2017년) 흰색 로고타입.svg
0.01%낙선
9김동연(金東兗)사퇴[2]

파일:새로운물결 흰색 로고타입.svg

10김경재(金景梓)22710위

파일:신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
0.02%낙선
11조원진(趙源震)5886위

ta-hash-start=w-c6447300d99fdbf4f3f7966295b8b5be[[파일: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.svg
0.06%낙선
12김재연(金在姸)9585위

파일:진보당(2020년) 흰색 로고.svg


0.10%낙선
13이경희(李京熹)2589위

ta-hash-start=w-710c4bc13d50ebdc72c005ec9a78ef9a[[파일:통일한국당(2021년) 흰색 로고타입.svg
0.02%낙선
14김민찬(金旻澯)3958위

ta-hash-start=w-53d57500fe9f2b9a4ce4adcc108326c0[[파일:한류연합당 흰색 로고타입.svg
0.04%낙선
선거인 수1,233,177투표율
76.70%
투표 수945,308
무효표 수8,907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
후보이재명윤석열
대전광역시
434,950
(46.44%)
464,060
(49.55%)
76.7
동구
65,555
(46.35%)
70,069
(49.54%)
74.2
중구
66,698
(44.49%)
77,459
(51.66%)
75.7
서구
139,877
(46.31%)
150,031
(49.61%)
76.3
유성구
108,701
(47.50%)
111,342
(48.66%)
80.0
대덕구
54,119
(47.37%)
55,159
(48.28%)
75.5


1.1. 동구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 동구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
후보이재명윤석열
득표수
(득표율)
65,555
(46.35%)
70,069
(49.54%)
-4,514
(▼3.19)
중앙동
43.13%53.90%▼10.77
신인동
44.98%51.12%▼6.14
효동
49.85%46.25%▲3.60
판암1동
45.48%49.92%▼4.44
판암2동
44.06%52.14%▼8.08
용운동
47.24%48.84%▼1.60
대동
44.03%51.64%▼7.61
자양동
44.35%52.00%▼7.65
가양1동
44.22%52.05%▼7.83
가양2동
45.54%50.66%▼5.12
용전동
46.04%49.40%▼3.36
성남동
46.90%49.34%▼2.44
홍도동
44.41%51.10%▼6.69
삼성동
44.44%51.97%▼7.53
대청동
33.17%62.97%▼29.80
산내동
47.77%48.37%▼0.60
후보이재명윤석열
거소·선상투표
36.74%55.91%▼19.17
관외사전투표
50.74%44.56%▲6.18
국외부재자투표
69.00%29.43%▲39.57
국회의원
선거구별
이재명윤석열격차
동구[3][A][4]45.69%50.29% ▼4.60


1.2. 중구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 중구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
후보이재명윤석열
득표수
(득표율)
66,698
(44.49%)
77,459
(51.66%)
-10,761
(▼7.17)
은행선화동
44.82%50.56%▼5.74
목동
52.68%43.38%▲9.30
중촌동
46.06%50.11%▼4.05
대흥동
46.35%49.66%▼3.31
문창동
42.48%53.55%▼11.07
석교동
41.93%54.18%▼12.25
대사동
39.51%55.91%▼16.40
부사동
42.44%53.80%▼11.36
용두동
46.10%49.57%▼3.47
오류동
41.89%54.37%▼12.48
태평1동
46.39%50.41%▼4.02
태평2동
41.17%55.92%▼14.75
유천1동
41.79%53.85%▼12.06
유천2동
41.42%55.52%▼14.10
문화1동
41.89%54.83%▼12.94
문화2동
42.95%53.19%▼10.24
산성동
42.45%53.57%▼11.12
후보이재명윤석열
거소·선상투표
50.47%45.45%▲5.02
관외사전투표
49.70%45.80%▲3.90
국외부재자투표
64.09%30.95%▲33.14
국회의원
선거구별
이재명윤석열격차
중구[5][A][6]43.66%52.59% ▼8.93

황운하 의원의 지역구 관리 소홀 및 김기현 울산시장 선거 개입 및 개별 사법재판 등 지역구내 민주당 비토심리가 반영되어 넉넉한 표차이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였다. 또한 윤 후보가 대전에서 유일하게 과반을 넘긴 기초단체이기도 하다

1.3. 서구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 서구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
후보이재명윤석열
득표수
(득표율)
139,877
(46.31%)
150,031
(49.67%)
-10,154
(▼3.36)
복수동
48.82%47.59%▲1.23
도마1동
40.39%55.85%▼15.46
도마2동
41.66%54.63%▼12.97
정림동
46.50%49.66%▼3.16
변동
43.59%52.43%▼8.84
용문동
41.86%53.14%▼11.28
탄방동
45.01%51.06%▼6.05
둔산1동
41.77%54.92%▼13.15
둔산2동
47.34%48.59%▼1.25
둔산3동
42.34%54.93%▼12.59
괴정동
46.67%48.36%▼1.69
가장동
42.81%54.02%▼11.21
내동
43.46%52.79%▼9.33
갈마1동
44.64%51.21%▼6.57
갈마2동
47.77%47.61%▲0.16
월평1동
46.40%48.80%▼2.40
월평2동
42.81%53.20%▼10.39
월평3동
45.01%51.40%▼6.39
만년동
46.56%49.44%▼2.88
가수원동
47.82%48.35%▼0.53
관저1동
50.24%45.84%▲4.40
관저2동
52.63%43.31%▲9.32
기성동
38.75%56.77%▼18.02
후보이재명윤석열
거소·선상투표
45.67%48.61%▼2.94
관외사전투표
49.10%46.24%▲2.86
국외부재자투표
64.71%31.48%▲33.23
국회의원
선거구별
이재명윤석열격차
서구 갑[7][A][8][9]46.82%49.48% ▼2.66
서구 을[10][A][11]44.71%51.35% ▼6.64

복수동, 갈마2동, 관저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다.[12] 박범계 법무장관의 지역구로 민주당 약우세 지역이었던 둔산신도시는 갈마2동을 제외하고 모두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는데, 특히 대형 평수 아파트가 많아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둔산1동, 둔산3동, 월평2동에서 큰 격차를 벌렸으며, 소형 평수 아파트가 많아 과거 진보세가 강했던 둔산2동, 월평3동, 만년동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다. 이재명 후보는 관저동에서만 과반을 득표했다.


1.4. 유성구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 유성구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
후보이재명윤석열
득표수
(득표율)
108,701
(47.50%)
111,342
(48.66%)
-2,641
(▼1.16)
진잠동
48.70%47.32%▲1.38
학하동
44.67%52.18%▼7.51
원신흥동
47.49%49.07%▼1.58
상대동
42.64%53.77%▼11.13
온천1동
43.77%52.06%▼8.29
온천2동
43.02%53.03%▼10.01
노은1동
48.87%47.54%▲1.33
노은2동
49.02%47.27%▲1.75
노은3동
51.45%45.05%▲6.40
신성동
43.38%53.19%▼9.81
전민동
47.99%48.47%▼0.48
구즉동
53.96%41.44%▲12.52
관평동
49.84%46.48%▲3.36
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
거소·선상투표
45.04%49.57%▼4.53
관외사전투표
48.00%47.56%▲0.44
국외부재자투표
58.18%37.12%▲21.06
국회의원
선거구별
이재명윤석열격차
유성구 갑[13][A][14]45.49%50.76%▼5.27
49.40%46.87%▲2.53

민주당계 정당의 절대우세지역인 유성구에서 이변이 일어났다.[15] 전통적 부촌인 도룡동 및 군부대인 자운대를 끼고 있는 신성동, 도안신도시 아파트가 밀집한 상대동에서 10%p 가량의 격차가 난 것이 결정타. 카이스트충남대학교를 끼고 있는 온천동에서도 약 10%p의 격차가 났다. 이재명 후보는 30~40대가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단지가 밀집한 노은동에서 승리하였으나 격차가 예상보다 적었고, 최북단의 구즉동과 관평동에서 우위를 점했다. 같은 아파트 밀집지역이라도 도안신도시가 들어선 상대동, 원신흥동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승리해, 양극화를 보여주었다. 이는 옆동네 서구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.


1.5. 대덕구[편집]


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전 대덕구 개표 결과
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
후보이재명윤석열
득표수
(득표율)
54,119
(47.37%)
55,159
(48.28%)
-1,040
(▼0.91)
오정동
43.07%52.89%▼9.82
대화동
45.37%49.43%▼4.06
회덕동
44.57%51.48%▼6.91
비래동
46.46%49.43%▼2.97
송촌동
49.10%46.88%▲2.22
중리동
45.89%50.14%▼4.25
법1동
46.28%49.45%▼3.17
법2동
45.02%50.80%▼5.78
신탄진동
45.61%49.93%▼4.32
석봉동
50.46%45.32%▲5.14
덕암동
48.53%46.97%▲1.56
목상동
52.21%42.61%▲9.60
후보이재명윤석열
거소·선상투표
48.34%46.45%▲1.89
관외사전투표
50.75%44.23%▲6.52
국외부재자투표
66.29%29.17%▲37.12
국회의원
선거구별
이재명윤석열격차
대덕구[16][A][17]46.87%48.89%▼2.02

동대전 권역으로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이었고 윤석열 후보가 우위를 점했으나, 오히려 윤 후보의 득표율이 대전시내 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았다. 둔산신도시에 종부세 논란이 일었던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종부세 영향을 덜 받으며 민주당이 선전할 수 있었다. 신탄진 권역(신탄진동, 석봉동, 덕암동, 목상동)의 저가 아파트들에서 이재명 후보가 우세했다.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6 13:35:41에 나무위키 제20대 대통령 선거/개표 결과/지역별/충청권/대전광역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전] 전국 집계 결과[1]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[2]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[3] 동구 일원[A] A B C D E F 관외투표 제외[4] 지역구 국회의원 : 장철민 (더불어민주당, 초선)[5] 중구 일원[6] 지역구 국회의원 : 황운하 (더불어민주당, 초선)[7] 서구 복수동, 도마1동, 도마2동, 정림동, 변동, 괴정동, 가장동, 내동, 가수원동, 관저1동, 관저2동, 기성동[8] 지역구 국회의원 : 박병석 (무소속, 5선)[9] 현재 국회의장의 지역구이다.[10] 서구 용문동, 탄방동, 둔산1동, 둔산2동, 둔산3동, 만년동, 갈마1동, 갈마2동, 월평1동, 월평2동, 월평3동[11] 지역구 국회의원 : 박범계 (더불어민주당, 3선)[12] 서구 갑서구 을 모두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다.[13] 진잠동, 온천1동, 온천2동, 노은1동, 원신흥동[14] 지역구 국회의원 : 조승래 (더불어민주당, 재선)[15] 유성구는 대전광역시에서 평소에 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데 이번에는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다.[16] 대덕구 일원[17] 지역구 국회의원 : 박영순 (더불어민주당, 재선)